Programming/Linux
[issue] 결과 코드: E_FAIL (0x80004005) 에러 해결방법
MAYSON
2022. 9. 17. 21:12
VM으로 리눅스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었는데 갑자기 에러가 발생했습니다.
Call to WHvSetupPartition failed:
ERROR_SUCCESS (Last=0xc000000d/87) (VERR_NEM_VM_CREATE_FAILED).
결과 코드:
E_FAIL (0x80004005)
구성 요소:
ConsoleWrap
인터페이스:
IConsole {872da645-4a9b-1727-bee2-5585105b9eed}
정확하진 않지만 전 날 window11로 업데이트를 하며 환경변수가 달라진 게 아닐까 싶은데
윈도우 가상환경인 Hyper-V와 충돌이 생겨 발생한 에러로 확인됩니다.
(Docker를 사용했을 때도 종종 같은 에러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Hyper-V 란?
마이크로소프트 하이퍼 V는 x64 시스템을 위한 하이퍼바이저 기반의 가상화 시스템이다. 윈도우 서버 가상화라는 이름으로도 알려져 있다. 하이퍼 V 베타 버전은 윈도우 서버 2008 x64 에디션에도 추가되어 있으며 마지막 버전은 윈도우 10에 적용되었다.
출처: https://ko.wikipedia.org/wiki/%ED%95%98%EC%9D%B4%ED%8D%BC-V
테스트를 위해 VM을 사용해야 하니 Hyper-V를 비활성화 해줍니다.
# Window11 설정으로 Hyper-V 비활성화
1. 제어판 -> 프로그램 으로 들어갑니다.
2. 프로그램 및 기능 란에 있는 Windows 기능 켜기/끄기 를 선택합니다.
3. 팝업창 상단쪽 Hyper-V 기능에 체크가 되어있는데, 체크해제 해줍니다.
# 명령 프롬프트(cmd)로 Hyper-V 비활성화
cmd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합니다.
# Hyper-v 비활성화 명령어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off
# Hyper-v 활성화 명령어
bcdedit /set hypervisorlaunchtype auto
비활성화를 한 뒤 재부팅을 하니 정상적으로 잘 돌아갑니다.
임시방편인 해결책일 수 있고, Hyper-V를 비활성화 함으로서 다른 에러가 발생할 수 있으니
확인 후 적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