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Tux
- Touch
- remove
- pwd
- copy
- less
- VM
- IT
- mkdir
- printworkingdirectory
- 커널패닉
- Linux
- cat
- CP
- CodeBlock
- command
- 절대경로
- MV
- 명령어
- 데이터
- 데이터베이스
- 커스터마이징
- 코드블럭
- 턱스
- DBMS
- move
- RM
- 리눅스
- 에러
- 상대경로
- Today
- Total
Snow flake
리눅스 그 펭귄 "Tux" 이야기 본문
리눅스 환경을 접하게 되면 자주 보게되는 마스코트인 펭귄
이름은 Tux(턱스) 입니다.
개발자나 엔지니어가 아닌 분들도 Window 로고나 Apple의 사과는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이 귀여운 펭귄의 유래는 어디서부터 시작이 되었을까요?
1996년 리눅스의 마스코트나 로고에 관한 이야기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강하고 기품있는 동물들을 제안하는 이들이 나오고 있었지만, 언젠가부터 리눅스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즈(Linus Benedict Torvalds)의 "펭귄이 좋다" 라는 언급 이후로 마스코트 컨테스트가 진행되었고, 래리 유잉(Larry Ewing)이 디자인한 펭귄이 채택되기에 이릅니다.
왜 하필 펭귄일까?
리누스 토발즈는 과거 오스트레일리아를 여행을 하던 도중, 작은 펭귄에게 물리는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오스트레일리아에는 "펭귄 중독"이라는 병이 있는데, 펭귄에게 물리는 즉시 펭귄과 사랑에 빠지게 된다는 것이 이 병의 증상이라고 합니다. 그는 리눅스의 마스코트에 대해 생각할 때 펭귄의 이미지가 머릿속을 떠나지 않았는데, 그 이유가 캔버라의 동물원에서 펭귄에게 우연히 물린 경험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라는 농담식의 언급으로 인해 펭귄 중독이라는 미신같은 병은 더욱 더 유명해졌다고 합니다.
또 다른 이유는 다른 OS와 달리 딱딱한 마스코트나 로고들과는 다르게 한정적이지 않고 자유롭게 사용자들이 커스터마이징 할 수 있다는 점에서 재미와 자유를 주고자 하는 리누스 토발즈의 "Just for fun"에도 어울리는 마스코트입니다.
“Just a penguin or is it a lovely, cuddly, stuffed penguin, sitting contended after engorging a wholesome meal of herring”
리누스 토발즈의 펭귄 마스코트에 대한 디자인적 요구사항이라고 합니다.
"청어를 배불리 먹어버려서 일어나지 못하는 사랑스럽고 껴안고 싶을 정도로 통통한 펭귄일 것"
Tux라는 이름의 유래는, 펭귄의 색이 마치 턱시도를 연상시켜 TUXEDO에서 유래가 되었다는 사람도 있고, Tovals UniX에서 따온 알파벳이 TUX가 되었다는 이야기도 있지만, 후자가 더 유력하다고 합니다.
참고로 이 귀여운 턱스는, MobaXterm을 사용하다 자리를 비울 경우, 수 십 마리가 나타나 힘들게 작성한 커맨드나 리스트를 죄다 지우고 다닙니다. (물론 자리비움 상태가 끝나면 되돌아 옵니다!)
'Programming > 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ommand] touch 명령어와 TIMESTAMP (0) | 2022.10.09 |
---|---|
[command] mkdir 명령어 (1) | 2022.10.06 |
[command] ls 명령어 (1) | 2022.10.03 |
[command] cd 명령어와 절대경로/상대경로 (0) | 2022.10.02 |
[issue] Kernel panic / [ end Kernel - not syncing : Fatal exception ] 해결방법 (0) | 2022.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