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CP
- 상대경로
- 에러
- 턱스
- 커널패닉
- DBMS
- 명령어
- Tux
- cat
- 리눅스
- 데이터
- RM
- CodeBlock
- 커스터마이징
- Touch
- MV
- 데이터베이스
- VM
- command
- move
- less
- printworkingdirectory
- remove
- 절대경로
- IT
- pwd
- copy
- 코드블럭
- Linux
- mkdir
- Today
- Total
목록All (18)
Snow flake

rm 명령어는 Remove의 약자로, 뜻 그대로 파일을 제거하는 명령어 입니다. 테스트 시에는 불필요한 파일이나 디렉토리가 많이 생성되어 이것저것 만들었다 지웠다 해보는 것도 좋지만, 리눅스 환경에서는 윈도우나 맥과는 다르게 한 번 삭제된 파일이나 디렉토리의 복구가 어렵습니다. 중요한 파일을 관리하는 서버에 접속해 rm 명령어를 사용할 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 사용법 rm [파일, 디렉토리]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 index.jsp 파일 삭제 rm index.jsp # -f 옵션없이 rm 명령어를 사용 할 경우, 알림창이 뜬다. rm: remove regular empty file 'index.jsp'? # y를 입력하면 삭제되고, n을 입력하면 삭제가 안된다. # 삭제 진행 rm: remove..

네이버 블로그 보다 티스토리에 개발자, 엔지니어 분들이 많은 것 같다. 텍스트로만 코드를 나열하기에는 가독성도 떨어지고, 변수나 메소드 구분이 어렵기 때문에 많은 이들이 코드블럭을 사용해 정리를 하곤 하는데(git 불러오기 제외!), 티스토리가 기본 제공하는 테마는 화이트로 되어있다. 나 역시 그렇지만 많은 사람들이 IDE 설정을 다크모드로 해놓고 사용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뇌피셜... 주변은 대다수가 그러더라구요..?) 티스토리가 제공하는 코드블럭을 커스터마이징 해보자! 포스팅에 코드블럭 삽입 방법 highlight.js 적용하기 - (1) 가장 고전적인 방법이다. highlightjs 홈페이지에서 코드를 받아와 html 코드를 수정하면 된다! https://highlightjs.org/ highli..

데이터베이스라는 단어는 IT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들 뿐만 아니라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단어가 되었습니다. PC, 스마트기기 등을 사용하다 보면 자신도 알게 모르게 데이터에 직접적으로 접근하고, 입력하고, 또한 출력하고 있습니다. 4차 산업시대에 우리의 삶에 직간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는 데이터들이 집약되어있는 데이터베이스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데이터베이스(DB, Database) 란 데이터베이스란 다수의 사람들이 공유하고 사용할 목적으로 저장, 관리되는 '데이터의 집합' 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1950년도 미국에서 처음 사용한 용어이며, 쉽게 생각해서 데이터가 저장되는 창고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우리의 일상 생활에서의 많은 정보들이 데이터로서 저장이 되는데요. 회사에 출근하기 위해 맞춰둔 알람 시각의 정보..

touch 명령어는 파일의 날짜와 시간을 수정하는 명령어 입니다. 하지만 옵션없이 사용하거나, 중복되는 이름을 지닌 파일이 없을 경우 크기가 0바이트인 파일이 생성되기 때문에 디렉토리가 아닌 파일 생성을 위해 자주 사용하는 명령어입니다. # 사용법 touch [파일명.확장자]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에 write.txt 생성 touch write.txt # /home/oracle 경로에 readme 파일 생성 touch /home/oracle/readme 위의 예시처럼 현재 디렉토리가 아닌 경로를 지정해 생성도 가능합니다. 중복되는 파일명이 없기 때문에 0인 파일이 생성되겠지만, 만약 동일한 이름, 확장자를 지닌 파일이 존재할 경우에는 현재 서버 시간을 기준으로 최근 사용 시간(access time)과 ..

mkdir은 make directory의 약자로, 뜻 그대로 디렉토리를 만드는 명령어입니다. 하나 혹은 여러 개의 디렉토리를 만드는 것이 가능하고, 절대경로와 상대경로를 이해하는게 좋습니다. # 사용법 mkdir [디렉토리, 경로] # oracle 이라는 디렉토리에 내부에 oracle2 디렉토리 생성 # 절대경로 mkdir /oracle/oracle2 # 상대경로(현재 내가 oracle 디렉토리에 위치해 있을 경우) mkdir oracle2 # 다수의 디렉토리를 생성할 경우 띄어쓰기로 구분 mkdir ora1 ora2 ora3 예시와 같이 절대경로로 특정 디렉토리를 지정하지 않으면 현재 user가 위치한 디렉토리에 생성합니다. 현재 위치는 pwd 명령어로 확인 가능합니다. 또한 현재 디렉토리 내부에 다수..

리눅스 환경을 접하게 되면 자주 보게되는 마스코트인 펭귄 이름은 Tux(턱스) 입니다. 개발자나 엔지니어가 아닌 분들도 Window 로고나 Apple의 사과는 쉽게 접할 수 있는데 이 귀여운 펭귄의 유래는 어디서부터 시작이 되었을까요? 1996년 리눅스의 마스코트나 로고에 관한 이야기들이 나오기 시작했고, 강하고 기품있는 동물들을 제안하는 이들이 나오고 있었지만, 언젠가부터 리눅스 창시자인 리누스 토발즈(Linus Benedict Torvalds)의 "펭귄이 좋다" 라는 언급 이후로 마스코트 컨테스트가 진행되었고, 래리 유잉(Larry Ewing)이 디자인한 펭귄이 채택되기에 이릅니다. 왜 하필 펭귄일까? 리누스 토발즈는 과거 오스트레일리아를 여행을 하던 도중, 작은 펭귄에게 물리는 일이 있었다고 합니다..

cd 명령어와 함께 가장 많이 쓰이는 명령어인 ls 입니다. ls는 list의 약자로, 뜻 그대로 디렉토리 내부의 파일, 폴더를 리스트로 출력해서 보여주는 명령어입니다. # 사용법 ls [디렉토리, 경로]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 내부 파일, 폴더 출력 ls # root 내부 파일, 폴더 출력 ls / # home 내부 파일, 폴더 출력 ls ~ # 절대경로로 /u01/test 내부 파일, 폴더 출력 ls /u01/test 단순히 ls 명령어 만으로는 파일의 유형이 폴더인지, 텍스트 파일인지 아니면 생성시간은 언제인지, 어떠한 유저, 그룹이 권한을 가지고 있는지 등등.. 확인이 어렵고 단순히 행으로만 표시되기 때문에 가독성이 떨어지며 숨김파일 역시 확인이 불가능 합니다. 그래서 ls 명령어를 사용할 때는..

Linux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명령어이자 처음 접하게 되면 이게 뭔가.. 싶은 cd 명령어입니다. cd는 change directory의 약자로, 뜻 그대로 디렉토리(폴더)를 바꾸다 라는 의미입니다. 쉽게 생각하자면 윈도우 환경에서 마우스 더블클릭으로 폴더를 열거나 앞으로, 뒤로가기 버튼을 클릭해 폴더를 이동하는 행위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사용법 cd [이동하고자 하는 디렉토리, 경로] # root로 이동 cd / # home으로 이동 cd ~ # 현재 디렉토리로 이동(새로고침과 같음) cd . # 부모 디렉토리(현 폴더의 하위 폴더)로 이동 cd .. # 현재 디렉토리 바로 전에 위치했던 디렉토리로 이동 cd - 절대경로는 최상위 디렉토리를 포함하며, root(/)부터 이동할 목적지까지의 모든 ..